스마트한 보험금융

연금저축보험으로 연말정산 세액공제 400만원까지 누리는 방법

똑똑스마트 2022. 12. 28. 14:58

 

고령화 인구 비율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노후대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요즘 노후대비를 위해 연금성 금융상품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노후대비 목적도 달성하고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연금저축보험에 대해서 함께 쉽고 빠르게 알아보도록 해요. 

 

썸네일
썸네일

연금저축보험이란?

  • 노후에 연금 수령을 목적으로 가입하는 보험
  • 연간 최대 납입금액 1,800만원, 400만원 한도까지 세액공제 혜택
  •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 3.3% - 5.5% 과세
  • 만 55세 이후부터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 (수령 나이 선택 가능)

 

연금저축보험은 노후에 연금 수령을 목적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보험 상품으로 가장 큰 특징은 매년 1,8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최대 400만원 한도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어요. 단,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혜택이 있는 연금보험과 다르게 연금저축보험은 연령에 따라 연금 수령시 연금 소득세를 내게 되어 있어요. 

 

연령별 연금 소득세

55세 이상 - 70세 미만 70세 이상 - 80세 미만 80세 이상
5.5% 4.4% 3.3%

 

연금 소득세는 최저 3.3%에서 최대 5.5%를 내도록 되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금융상품으로 이자 소득을 얻었을 때 내야 하는 이자 소득세 15.4%에 비하면 적용세율이 훨씬 적은 것을 알 수 있어요.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혜택 및 조건

  • 의무가입기간 : 5년

 

연금저축보험으로 세액공제를 받으시려면 5년간 가입하고 금액을 납입해야 세액공제 혜택을 보실 수 있는데요. 만약 중도해지 하실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신 액수를 다시 반납해야 하기 때문에 해지를 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한도 및 세율

연금저축보험으로 연 최대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세액공제 한도와 세율은 개인의 소득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달라집니다.

 

급여액에 따른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한도 및 세율 

총 급여액 (종합소득 과세표준) 세액공제 한도 세율 (지방소득세 포함)
5,500만원 이하 (4,000만원 이하) 400만원 16.5%
5,500만원 초과 - 1억 2,000만원 이하
(4,000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13.2%
1억 2,000만원 초과
(1억 원 초과)
300만원

 

연금저축보험의 세액공제 한도를 결정짓는 소득구간은 5,500만원 이하, 5,500만원 초과 - 1억 2,000만원 이하, 그리고 1억 2,000만원 초과 이렇게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지는데요. 소득구간에 따라서 세액공제 한도는 300만원 또는 400만원, 공제 세율은 13.2% 또는 16.5%가 됩니다.

 

더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 볼까요? 연봉이 5,500만원 이하인 직장인이 올해 연금저축보험 계좌에 400만원을 입금했다면 400만원의 16.5%인 66만원을 연말정산 시 환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한편 2023년부터는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원까지 늘어나는 등 연말정산 혜택이 더욱 확대되고 소득구간도 간소화 된다고 하는데요. 아래 표를 통해서 2023년부터 적용되는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혜택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2023년부터 적용되는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한도 및 세율

총급여액 (종합소득 과세표준) 세액공제 한도 세율 (지방소득세 포함)
5,500만원 이하 (4,500만원 이하) 600만원 15%
5,500만원 초과 (4,500만원 초과) 12%

 

2023년부터는 세액공제 한도와 세율을 적용하는 소득 구간이 기존 3개에서 2개로 줄어들고 공제 한도 금액은 4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상향되는 대신 최대 적용 세율은 16.5%에서 15%로 하향 조정 된다고 합니다. 혜택이 좋아진건지 아닌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공제금액을 계산해보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연봉 5,500만원 이하 직장인의 연금저축보험 최대 세액공제액

  • (기존) 400만원 x 16.5% = 66만원 환급
  • (개정) 600만원 x 15% = 90만원 환급

 

2023년부터 달라지는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 확대)

 

2023년부터 달라지는 연말정산 제도 알아보기 (소득공제 혜택 확대)

2022년 7월 발표한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2023년부터 소비하는 금액에 대한 세금 공제 혜택이 전반적으로 확대되어 연말정산에서 더 많은 혜택을 보실 수 있는 방향으로 달라진다고 합니다. 연말정

sugarygrass.tistory.com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으로 연말정산 환급액을 높일 수 있는 연금저축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은 좋지만 본격적으로 알아보려니 번거롭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듯합니다. 하지만 몇 십만원에 달하는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니 여러 금융사의 연금저축보험 상품 혜택 확인만이라도 꼭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말정산 세액공제 개인형 퇴직연금 IRP 연금저축보험 비교 공통점 차이점

 

연말정산 세액공제 개인형 퇴직연금 IRP 연금저축보험 비교 공통점 차이점 정리

우리나라의 연금제도는 크게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퇴직연금 중 하나인 개인형 퇴직연금 IRP와 개인연금 중 하나인 연금저축보험은 연말

sugarygrass.tistory.com

 

퇴직연금 종류별로 쉽게 알아보기 (IRP 개인형 퇴직연금,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종류별로 쉽게 알아보기 (IRP 개인형 퇴직연금,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히 어떤 연금인지, 퇴직금과는 어떻게 구분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퇴직연금을 아주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

sugarygrass.tistory.com

 

연말정산 소득공제 최대한 많이 받는 꿀팁 모음

 

연말정산 소득공제 최대한 많이 받는 꿀팁 모음

사회초년생이라 아직 연말정산이 익숙하지 않거나, 혹은 연말정산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소비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올해도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연말정산을 최대한 많이 받으려면 지금까

sugarygras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