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하면서 매달 꼬박꼬박 빠져나가는 세금, 보험, 연금을 보면 금액이 상당하기 때문에 내 돈을 빼앗기는 느낌까지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중에서 국민연금은 소득이 없어진 노후생활을 가장 기본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제도로, 소홀히 생각했다가는 추후에 아쉬울 수 있기 때문에 잘 챙겨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기본개념과 함께 국민연금 납부금액,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근로자가 나이가 들어서 더 근로를 하기 힘들어져 소득이 줄어들 때를 대비하여 마련된 국가제도입니다.
보통 국민연금이라고 많이 말하지만, 노령연금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우리는 일정 조건을 충족시키면 수령 가능한 나이가 되었을 때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2. 국민연금 수령조건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아래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며 (납부한 기간이 10년이 넘어야 합니다.)
-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에 도달했을 때
국민연금을 10년간 꼬박 납부했다면 지급개시연령에 도달할 시 연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지급개시연령에 출생연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지는 지급개시연령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며 고령화사회가 되었기에 출생연도가 늦어질수록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나이가 점점 늦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국민연금을 10년이상 납부했고 일반 국민연금 수령나이보다 조금 더 일찍 연금을 받고 싶다면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해서 이른 수령이 가능합니다.
또한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되었는데 은퇴 후 재취업 등으로 소득이 있으신 분이라면 연금의 수령액이 일정기간 감액되어 지급하도록 되어 있는데요.
2022년 기준 월평균소득금액이 2,681,724원을 초과하는 경우 연금 수령액이 아래와 같이 구간별로 감액지급 됩니다.
* 월평균소득금액 : 부동산 임대 소득 등을 포함한 사업소득과 근로소득을 합하여 근무 개월수로 나눈 금액을 뜻합니다.
이 밖에 좀 더 자세한 소득 관련 국민연금 감액 조건과 국민연급 지급 연기 등 상세한 내용은 아래 국민연금 홈페이지의 01. 노령연금의 종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상세정보 확인하러 가기 ▼
3. 국민연금 신청하기
국민연금은 연금수령권을 가진 당사자가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나, 연금 수령 당사자가 신체 및 정신적으로 단독으로 신청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거나, 해외체류 등으로 부득이하게 직접 청구가 곤란할 경우 대리인이 청구가 가능합니다.
국민연금은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 어디에서나 청구가 가능하며 청구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방문청구
- 찾아가는 연금서비스
- 우편청구
- 팩스청구
- 인터넷 청구
아무래도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인터넷 청구방법이 될텐데요.
국민연금 청구시 필요한 구비서류 확인과 함께 국민연금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청구는 아래 페이지의 03. 청구방법에서 손쉽게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 인터넷으로 신청하러 가기 ▼
4. 국민연금 납부금액 조회하기
여태까지 납부한 국민연금이 얼마인지 알고싶으시다면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간편인증, 공인인증서, 또는 카카오페이로 간단하게 본인인증을 하여 로그인하면 국민연금 납부금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시면 본인인증 로그인 후 국민연금 납부금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 납부금액 조회 바로가기 ▼
5.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지금까지 납부한 국민연금 내역을 바탕으로 국민연금 지급연령 도달시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국민연금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본인인증 없이도 예상수령액 조회가 가능한데, 본인인증을 하고 조회하는 것이 더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시면 본인인증 로그인 후 손쉽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바로가기 ▼
국민연금의 기본개념과 함께 국민연금 신청방법과 납부금액,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기본 연금인 국민연금 잘 활용하시고, 수령예정액에 있으시다면 놓치지말고 꼭 신청하셔서 수령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건강보험금 환급금 관련 포스팅도 함께 확인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 1인 평균 130만원?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놓치면 아까워요!
▼ 클래스101 구독 서비스로 2,800여개 강의를 월 2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법 및 신청방법, 지원대상, 지원한도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 크라우드웍스 데이터 라벨링은 눈알붙이기 알바? (feat. 프로N잡러)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근로장려금 신청, 상반기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2.09.02 |
---|---|
공인회계사 시험 관련 정보 총정리 (일정, 과목, 자격, 학점, 전망, 연봉) (0) | 2022.08.30 |
1인 평균 130만원?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놓치면 아까워요! (0) | 2022.08.21 |
주말알바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주 2일/주 3일 근로 주휴수당) (0) | 2022.06.09 |
단기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기) (0)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