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은 평일을 꽉 채워서 일하는 알바생만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지만, 이건 오해입니다!
일정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하면 주말알바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말알바 하시는 분들,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궁금하시다면 오늘 포스팅 끝까지 읽어주세요!
1. 주휴수당이란? (feat. 주휴수당 지급조건)
✅ 주휴수당 : 한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빠짐없이 채운 근로자가 받는 1일의 유급휴일 혹은 수당
만약 근로계약서 상으로 일주일 내에 토요일, 일요일 2일을 근무하기로 약속했다면 주 2일이 규정한 근무일수가 됩니다.
만약 월, 수, 금을 일하기로 계약했다면 주 3일이 규정한 근무일수가 됩니다.
👉 주휴수당 지급조건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근로계약서상으로 규정한 일주일 내 근로시간을 개근하여 근무할 것
✅ 한주 동안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즉, 주 2일이든 주 3일이든 일주일 간 규정한 근무시간을 다 채워 일했을 때 1주일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 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
1주일 총 근무시간 15시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쉽고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2. 주 2일 / 주 3일 주말알바의 주휴수당 지급조건
✅ 일주일 내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주휴수당 수령 가능합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주당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인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1. 주 2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 나의 계약서 상의 1일 근무시간이 8시간으로 정해져 있다면, 2일 근무시간은 총 16시간이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주당 근무시간이 16시간이 되고, 주휴수당 지급 기준인 15시간 이상 근무시간을 충족시키기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
만약 나의 1일 근무시간이 7시간으로 규정되었을 경우, 2일 근무시간은 총 14시간이 되어 주휴수당 지급 기준인 15시간에 못 미치기에 주휴수당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게 됩니다.
❓야간 및 연장근로를 하게 된다면
👉 만약 추가 및 야간근로를 하게 되어 규정된 근무시간인 14시간을 넘겨 15시간 이상 근무조건을 충족했다고 해도, 계약서상으로 규정된 정규 근로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 주에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주 3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 주 2일 알바와 동일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의 1일 근무시간이 계약서 상으로 7시간으로 규정된 경우, 3일 근무시간은 총 21시간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
1일 근무시간이 5시간으로 규정된 경우에도 3일 근무시간은 총 15시간으로, 이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요일이나 일수에 상관없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 근무시간은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이고, 계약한대로 근무를 했다면 차질없이 주휴수당 지급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계산방법을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 단기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기)👇
3. 주말알바 그만둘 때 주휴수당 받으려면?
✅ 근로계약서 상 회사의 주휴일이 어느 요일인지 확인하고 알바 그만두는 날을 고려해야 합니다!
👉 그래야 근로계약서 상의 회사 주휴일을 확인하셔야 알바를 그만둘 때 근무하는 마지막 주의 주휴수당도 챙겨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휴일이 언제냐에 따라서 일주일의 근로기간을 채우는 요일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주일의 근로기간을 채우는 요일까지는 알바를 하시고 그만두셔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고용노동부의 주휴수당 관련 내용을 캡쳐한 것입니다.
👉 주휴일이 일요일인 경우, 주휴일이 지난 다음날인 월요일에 퇴직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조금 더 자세하게 아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소정근로일이 월-금까지이고, 주휴일이 일요일이면 주휴일인 일요일까지는 근로계약관계를 유지해야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토요일에 퇴직하게 되면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일주일 7일간 근무조건을 충실히 이행했으면, 1주를 초과하는 다음날인 8일째 근로하지 않더라도 주휴수당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월-금 5일 근무조건에 주휴일이 일요일이라면, 그 다음 근무일인 월요일에 근로하지 않아도 주휴수당은 발생합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시간을 충족하는 주말(토,일) 알바생의 경우 주휴일은 일요일이 아닌 다른 요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계약서상으로 주휴일이 언제인지 계약조건을 확인하셔야 내가 주휴수당을 수령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말알바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함께 확인해 보았습니다.
나의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확인하시고 알바를 하시면 주휴수당, 주휴일을 놓치지 않고 잘 챙기실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포스팅도 함께 확인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 단기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기) 👇
👇 통상임금이란? (1일 통상임금, 계산방법, 상여금, 수당계산)👇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 만에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부금액, 수령나이 조회 및 확인하기 (0) | 2022.08.29 |
---|---|
1인 평균 130만원?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놓치면 아까워요! (0) | 2022.08.21 |
단기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 계산기) (0) | 2022.06.08 |
통상임금이란? (1일 통상임금, 계산방법, 상여금, 수당계산) (0) | 2022.06.07 |
연차휴가 미사용 수당 계산방법 궁금하신가요? (feat. 청구시기, 지급일) (0) | 2022.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