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최저임금이 9,620원으로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월급 빼고 다 오르는 요즘, 2023년 최저임금으로 예상되는 우리의 주, 월 최저임금과 실수령액에 대해서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1. 최저임금 변화추이
2023년 최저임금은 9,620원으로 올해 최저임금인 9,160원에서 5%인 46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물가와 금리가 모두 상승하는 이 시기에 최저임금 또한 마땅히 오를 것을 예상할 수 있지만, 가파르게 상승하는 물가를 생각하면 그리 많이 오른 것 같지 않기도 합니다. 2023년 최저임금은 내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하여 본격적으로 우리의 임금 계산에 적용되게 됩니다.
2. 2023년 주급, 월급 및 연봉 정리
1. 2023년 주급
2023년 최저임금 9,620원을 기준으로 최저 주급, 월급과 연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우선 이 계산은 가장 많은 고용형태의 직장인들이 일하는 시간인 1일 8시간, 주 5일 40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되었음을 참고하셔서, 본인 근로계약 기준에 맞게 계산하셔도 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 5일 40시간 근무를 할 때 주급과 주휴수당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급 : 최저시급 9,620원 x 40시간 = 384,800원
- 주휴수당 : 최저시급 9,620원 x 8시간 = 76,960원
주급과 주휴수당은 함께 지급되므로, 2023년 지급받게 되는 기본 주급은 461,760원입니다.
2. 2023년 최저월급 및 연봉, 실수령액
1일 8시간, 주 5일 40시간 일하는 근로자 기준으로 2023년 월급을 계산하면 2,010,580원 입니다. 동일한 기준으로 2023년 최저 연봉을 계산하면 2,010,508원 x 12개월 = 24,126,960원이 됩니다. 위의 월급과 연봉은 세금을 제하기 전 액수로, 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 가장 기본 조건으로 최저 월급 및 연봉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와 같이 가장 기본 조건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했을 때 2023년 최저 월급 실수령액은 1,813,340원, 최저 연봉 실수령액은 21,760,080원이 됩니다.
▼ 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 바로가기 ▼
비과세액 및 부양가족 여부, 기타 수당 등의 포함여부에 따라서 이 액수는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3년 월급 및 연봉 정리
2023년 최저임금 월급 | 2023년 최저임금 연봉 | |
세전 | 2,010,580원 | 24,126,960원 |
세후 (실수령액) | 1,813,340원 | 21,760,080원 |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 주말알바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주 2일/주 3일 근로 주휴수당)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신청방법 총정리 (대상, 자격, 혜택, 채무감면 조정) (0) | 2022.09.10 |
---|---|
개편되는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3가지!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어떻게 다를까? (0) | 2022.09.09 |
희망이음 사회서비스 정보시스템, 복지멤버십 가입으로 지원금 받기 (0) | 2022.09.08 |
서울시 폭우피해 재난지원금 소상공인에 500만원 지급! (0) | 2022.09.06 |
3만원 영수증으로 100만원? 단 7일간 진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 주유소 마트 가능! (0)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