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한 정부정책

기준 중위소득 쉽고 빠르게 확인하기

by 똑똑스마트 2022. 10. 25.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복지혜택을 제공하고자 정부에서 다용도로 활용되는 값입니다. 우리는 정부가 주는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때 기준 중위소득값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서 잘 이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을 순서대로 늘어놓았을 때의 중간값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기초생활보장 급여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 산출하는 값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으로 국민들의 상대적인 빈곤 정도를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빈곤한 계층부터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합니다. 농어가를 포함한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고 급여 수준의 안정성, 최근 중위소득의 반영 필요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3년 평균 증가율을 적용해서 기준 중위소득을 결정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기

 

2022년과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 복지 정책의 혜택은 보통 '기준 중위소득의 몇 % 이하' 방식으로 많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아래 해당 기준 중위소득에 원하는 %의 값을 백분율로 계산하면 원하는 값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인 가구 중위소득의 50%는 1,944,812 x 0.5 = 972,406원이 됩니다. 

 

  2022년 2023년
1인가구 1,944,812 2,077,892
2인가구 3,260,085 3,456,155
3인가구 4,194,701 4,434,816
4인가구 5,121,080 5,400,964
5인가구 6,024,515 6,330,688
6인가구 6,907,004 7,227,981

 

 

복지 정책별 기준 중위소득 %

 

복지 정책마다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의 %가 달라서 정책마다 %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중위소득 46% : 주거급여

중위소득 50% : 기초생활수급, 교육급여, 차상위계층, 국민취업제도, 서울형 안심소득

중위소득 60% : 한부모가정, 취업성공패키지, 국민취업제도, 청년특별월세지원

중위소득 70% : 가사, 간병 방문 지원사업

중위소득 100% : 중장년 취업성공패키지

중위소득 120% : 국민취업제도

 

 

이 밖에 여러 가지 복지 혜택을 받을 때 기준 중위소득이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니, 잘 확인하시고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놓치지 마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다른 복지정책 보기 ▼▼ 

 

 

국민행복카드 국가복지바우처 알아보기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바우처

 

기초연금 40만원 인상 시기, 수급자격

 

취약계층 정부지원금 청년 이사비 지원

 

복지멤버십 가입으로 지원금 받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