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급격히 상승하고 경제적으로 서민들의 어려움이 더 커지면서 여러 가지 비용 부담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계신 청년들이나 학생 분들에게는 특히나 월세 부담이 더욱 커지기 마련인데요. 청년들의 도약을 돕고자 정부에서는 청년들에게 한시적으로 월세를 지원하는 청년월세 특별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청년월세 특별지원이란?
소득이 낮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원까지 12개월(1년)간 월세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형편이 어려운 청년들, 취업준비생들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취지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신청기간
- 2022년 8월 22일 - 2023년 8월 21일
진행기간
- 2022년 11월 - 2024년 12월
신청 자격조건
연령
- 만 19세 - 34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신청 자격이 있습니다.
- 선정 이후에 조건 연령에 해당하는 만 19세 - 34세 범위를 초과하여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주택
-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무주택자
-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
- 월세 60만원을 초과할 경우에도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한 금액과 월세를 합산한 금액이 70만원 이하이면 지원 가능합니다.
- 보증금이 5천만원을 초과할 경우 지원이 어렵습니다.
소득 및 재산조건
소득과 재산조건은 원가구와 청년가구 둘 다 따져봅니다. 청년가구란 청년 본인과 배우자, 직계비속 그리고 동일한 주소지에 거주하는 가족을 말하고 원가구는 청년가구의 1촌이내 직계혈족(부모님)을 포함하는 가족을 말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청년가구는 청년을 중심으로 꾸려진 가구라고 보시면 되고, 원가구는 청년가구의 부모님을 포함한 가구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가 간단합니다.
소득조건 | 재산조건 | |
원가구 | 중위소득 100% 이하 | 3억 8천만원 이하 |
청년가구 | 중위소득 60% 이하 | 1억 7백만원 이하 |
원가구는 중위소득 100%이하, 청년가구는 중위소득 60% 이하의 소득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각 중위소득 값은 아래 표에서 가구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원가구 중위소득 100%
2022년 | 2023년 | |
1인가구 | 1,944,812 | 2,077,892 |
2인가구 | 3,260,085 | 3,456,155 |
3인가구 | 4,194,701 | 4,434,816 |
4인가구 | 5,121,080 | 5,400,964 |
5인가구 | 6,024,515 | 6,330,688 |
6인가구 | 6,907,004 | 7,227,981 |
청년가구 중위소득 60%
2022년 | 2023년 | |
1인가구 | 1,166,887 | 1,246,735 |
2인가구 | 1,956,051 | 2,073,693 |
3인가구 | 2,516,821 | 2,660,889 |
4인가구 | 3,072,648 | 3,240,578 |
5인가구 | 3,614,709 | 3,798,412 |
6인가구 | 4,144,202 | 4,336,788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1.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복지서비스 신청을 클릭합니다.
- 홈페이지 상단 메뉴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3.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및 간편인증 중 편리한 경로로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화면 맨 하단에 있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하기' 체크표시를 선택한 후 '저장 후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
5. 개인정보 동의여부에 모두 동의합니다.
6. 청년월세 특별지원 서비스 상세 내용을 모두 읽고 확인합니다.
서비스 대상, 서비스 이용 및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서 작성 전 주의사항 탭에 있는 내용을 모두 꼼꼼히 읽고 확인하신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7. 자가진단을 진행합니다.
청년월세 특별지원 조건에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자가진단 항목을 확인하고 대답한 후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서를 작성하여 신청을 진행합니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시작으로 단계별 신청서 작성을 진행해서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서를 마무리하시면 됩니다. 반드시 마지막 단계까지 가셔서 확인 버튼을 눌러야 신청이 최종적으로 완료됩니다.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셔서 문의하시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복지센터는 동사무소 또는 주민센터와 구분되는 독립된 지역기관이기 때문에 반드시 내 주소지 관할의 행정복지센터로 방문하셔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헷갈리지 않도록 꼭 한번 더 체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방문하시기 전 청년월세 특별지원에 필요한 서류가 무엇인지 사전에 전화로 확인하신 다음 방문하시는 것이 번거롭게 센터에 여러 번 방문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주거급여 신청방법
청년 이사비 지원 1인 40만원
청년도약계좌 5년간 5천만원 만들기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혜택 및 최대 환급액 알아보기 (0) | 2022.12.11 |
---|---|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점, 어느 것이 유리할까요? (0) | 2022.12.10 |
소득 상관없이 5억원까지 대출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 시행계획 (0) | 2022.12.07 |
중도퇴사자 퇴사 후 연말정산 하는 시기, 방법 알아보기 (미취업, 이직, 사업자) (0) | 2022.12.06 |
퇴사한 회사에 연락하지 않고 원천징수영수증 발급하는 방법 (0) | 2022.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