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2023년 새해부터 공과금 및 각종 요금도 인상을 피할 수 없게 된 것 같습니다. 올해부터 인상되는 각종 공과금 및 요금 항목들을 빠르게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인상되는 공과금 및 요금
✔️ 유류세(휘발유)
✔️ 교통비(택시, 버스, 지하철)
✔️ 공과금(전기요금, 가스요금)
유류세
유가가 급등하면서 그동안 휘발유 유류세의 인하폭은 37%를 유지했었는데요. 이제 국제 유가가 배럴당 $76.7로 안정세에 접어들며, 휘발유 유류세의 인하폭을 25%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한편 경유와 LPG 부탄은 37%의 인하폭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해요.
2023년 유류세 인하폭 및 세금
- 시행시기 : 2023년 1월 1일부터
휘발유 | 경유 | LPG 부탄 | |
유류세 인하폭 | 25% (37%에서 인하) | 37% (현행유지) | 37% (현행유지) |
리터(L)당 세금 | 615원 (기존 516원에서 약 100원 인상) | 369원 (현행유지) | 130원 (현행유지) |
휘발유 유류세 인하폭을 37%에서 25%로 낮추게 되면 기존 리터당 516원이었던 휘발유 유류세가 2023년부터는 L당 615원으로 약 100원 가까이 인상됩니다. 한편 경유와 LPG 부탄은 인하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리터당 세금도 각각 369원, 130원으로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교통비
급격하게 상승한 물가 등을 교통비는 전반적으로 다 인상된다고 하네요. 교통수단별로 요금이 얼마나 인상되는지 살펴볼까요?
2023년 인상되는 택시요금 (중형택시 기준)
- 시행시기 : 2023년 2월부터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기본요금 | 3,800원 | 4,800원 | 3,800원 | 4,800원 |
심야할증 (11pm-2am) |
4,600원 | 5,300원 | 4,600원 | 5,300원 |
* 기본거리 1.6km당 기본요금 4,800원 (131m, 30초당 100원)
중형택시 기준으로 기본 택시요금은 3,800원이었는데 2023년 2월부터 기본요금은 1,000원이 오른 4,800원이 된다고 합니다. 밤 11시부터 새벽 2시까지 붙는 심야할증비도 기존 4,600원에서 700원 오른 5,300원으로 인상됩니다. 한편 대형택시와 모범택시의 기본요금도 기존의 6,500원에서 500원 오른 7,000원이 된다고 해요.
2023년 인상되는 지하철 요금
- 시행시기 : 2023년 4월 말부터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일반 | 1,250원 | 1,550원 | 1,350원 | 1,650원 |
지하철 요금은 편도 기준 300원이 인상되어서 교통카드 요금은 1,550원, 현금은 1,650원이 됩니다. 보편적인 직장인이 한달 동안 출퇴근으로 지하철을 60회 이용시 인상 전 한달 요금이 75,000원이었다면 인상 후에는 18,000원이 올라 93,000원 가량이 나온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는 기존 지하철 요금보다 약 24% 정도가 오른 셈이 됩니다.
2023년 인상되는 버스 요금
- 시행시기 : 2023년 4월 말부터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간선 및 지선버스 | 1,200원 | 1,500원 | 1,300원 | 1,600원 |
마을버스 | 900원 | 1,200원 | 1,000원 | 1,300원 |
버스비 역시 지하철과 마찬가지로 300원이 올라 교통카드 기준으로 일반 버스 요금은 1,500원, 마을버스 요금은 1,2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버스로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이 한달 동안 버스를 60회 이용 시 지불해야 하는 교통비는 기존 72,000원에서 18,000원이 오른 90,000원으로, 약 25% 가량이 오른 셈이 되네요.
공과금
다음은 공과금 부문의 인상시기와 인상폭입니다. 작년 가을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한전과 가스공사가 적자로 고생하고 있다는 뉴스가 났었는데 여러 상황을 고려해 전기와 가스요금도 결국 또 오르게 되었네요.
2023년 인상되는 전기 & 가스요금
전기요금 | 가스요금 | |
시행시기 | 2023년 1분기 (1월 1일부터) | 2023년 2분기 예정 (4월부터) |
인상폭 | kWh당 13.1원 인상 (작년 대비 9.5% 인상) | 1MJ당 8.4-10.4원 인상 예정 (작년 대비 1.5-1.9배) |
전기요금은 kWh당 13.1원이 인상되어 작년 대비 약 10% 가량 인상되는데요. 월평균 307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를 기준으로 하면 작년 마지막 분기 대비 이번 1분기 요금은 4,570원이 오르는 셈이 됩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전기요금은 분기마다 순차적으로 인상될 예정이라고 해요.
가스요금은 국민들의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고려해서 2023년 1분기는 가스비를 동결하고 2분기부터 인상한다고 하네요. 인상폭은 1MJ당 8.4-10.4원 가량으로 작년 대비 1.5배-2배 정도 인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2023년 인상되는 공과금, 요금, 유류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이런 생활요금들도 함께 오르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상 같아요. 경제적으로 모두 힘든 시기이지만 올 한해도 다함께 잘 이겨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2023년 최저임금 확정! 최저 주급, 월급과 연봉 실수령액
2023년 새해 달라지는 주식 증권거래세율, 자동차, 세액공제, 국민연금, 보험
2023년 무슨해 무슨띠? 검은 토끼띠 계묘년 뜻 띠별 운세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 조건, 나이, 주의사항 한 눈에 알아보기 (0) | 2023.01.04 |
---|---|
국민연금 수령나이 67세부터로 변경 추진, 현재 국민연금 수령나이 알아보기 (0) | 2023.01.04 |
고교학점제 도입 및 시행 시기, 장점 문제점 부작용 정리 (0) | 2023.01.02 |
2023년 새해 달라지는 세금 보험 관련법 (주식 증권거래세율, 자동차, 세액공제, 국민연금, 보험) (0) | 2023.01.02 |
신촌연세병원 국가 일반 건강검진 주의사항 및 후기 (물, 무직자, 예약, 소요시간, 절차)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