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로 접어든 현재 국민연금이 국민들의 노후보장을 해주기에는 부족한 제도가 되어버린 것이 사실인데요. 이런 점을 고려해 연금개혁 특별위원회는 국민연금 의무가입 나이를 높이고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67세로 늦추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 제도의 개편 필요성
현재 월평균 국민연금 지급액은 58만원이라고 합니다. 이제 대한민국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기존의 국민연금 제도로는 노후보장이 역부족인 상황이 되어버렸는데요. 국회에서는 국민연금이 국민들의 실질적인 노후보장에 보탬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금제도 개편안을 제시했습니다.
국민연금 개편 방안
- 국민연금 수령나이 : 65세 -> 67세로 상향 조정
- 보험금 납입 나이 : 만 60세까지 -> 상향 조정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평균 수명과 일할 수 있는 나이도 높아졌기 때문에 국회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적극 반응해서 국민연금을 납입하는 기간과 수령 나이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중이라고 합니다. 한 마디로 더 오랫동안 내고 더 많이 받는 방안을 추진하려고 하는 것이죠. 자연스럽게 정년을 연장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국민연금 보험금은 만 60세까지만 납부하면 되지만 앞으로는 납부 연령을 더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또 연금 수령 개시나이도 현재는 만 65세이지만 앞으로는 연금수령 개시나이를 만 67세로 상향 조정해서 2년 더 늦게 수령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중이라고 해요.
현재 국민연금 수령나이
현재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태어난 연도에 따라서 아래 표에서와 같이 조금씩 상향 조정되어 1969년생부터는 만 65세가 되어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생년 | 연금수령 개시나이 |
~1952년생 | 만 60세 |
1953-1956년생 | 만 61세 |
1957-1960년생 | 만 62세 |
1961-1964년생 | 만 63세 |
1965-1968년생 | 만 64세 |
1969년생~ | 만 65세 |
이렇게 태어난 연도에 따라서 연금수령 나이가 조금씩 달라지는데, 생년별로 연금수령 개시나이에 도달하는 연도를 아래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만 60세 도달 연도
- 1952년생 : 2012년
만 61세 도달 연도
- 1953년생 : 2014년
- 1954년생 : 2015년
- 1955년생 : 2016년
- 1956년생 : 2017년
만 62세 도달 연도
- 1957년생 : 2019년
- 1958년생 : 2020년
- 1959년생 : 2021년
- 1960년생 : 2022년
만 63세 도달 연도
- 1961년생 : 2024년
- 1962년생 : 2025년
- 1963년생 : 2026년
- 1964년생 : 2027년
만 64세 도달 연도
- 1965년생 : 2029년
- 1966년생 : 2030년
- 1967년생 : 2031년
- 1968년생 : 2032년
만 65세 도달 연도
- 1969년생 : 2034년
- 1970년생 : 2035년
- 1971년생 : 2036년
- 1972년생 : 2037년
현재 연령별 국민연금 납부기한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나이와 상관없이 연금 수령을 위해서는 현재 만 60세까지만 연금보험료를 납부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1963년 8월생은 2023년 8월에 만 60세에 도달하기 때문에 2023년 8월분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하면 되고,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키게 됩니다.
생년별 만 60세 도달 연도
- 1952년생 : 2012년
- 1953년생 : 2013년
- 1954년생 : 2014년
- 1955년생 : 2015년
- 1956년생 : 2016년
- 1957년생 : 2017년
- 1958년생 : 2018년
- 1959년생 : 2019년
- 1960년생 : 2020년
- 1961년생 : 2021년
- 1962년생 : 2022년
- 1963년생 : 2023년
이렇게 현재 국회에서 추진중인 국민연금 개편안과 현재 생년별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국민연금 수령나이와 가입기간의 상향조정 여부는 조금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듯합니다. 어떤 방안이 되었든 최종적으로 국민들의 노후보장에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좋은 정책안이 나오기를 기다려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 조건, 나이, 주의사항
국민연금 종류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 사망일시금)
기초연금 40만원 인상 추진? 기초연금 수급자격, 인상 시기
기초연금 40만원 받으면 국민연금 누가 내냐고요? (기초연금 국민연금 연계)
'스마트한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 총정리 (규제지역 해제, 실거주의무, 중도금 대출, 1주택자, 청약) (0) | 2023.01.04 |
---|---|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 조건, 나이, 주의사항 한 눈에 알아보기 (0) | 2023.01.04 |
2023년 인상 공과금 요금 총정리 (전기가스, 택시, 지하철, 버스, 유류세) (0) | 2023.01.03 |
고교학점제 도입 및 시행 시기, 장점 문제점 부작용 정리 (0) | 2023.01.02 |
2023년 새해 달라지는 세금 보험 관련법 (주식 증권거래세율, 자동차, 세액공제, 국민연금, 보험)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