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한 부동산정보

깡통전세 뜻 이것만 알면 깡통전세 피해 막을 수 있어요 (위험지역, 주의매물)

by 똑똑스마트 2022. 9. 16.
 

요즘 집값 하락이 계속 이어지면서 내가 살고 있는 집은 깡통전세가 아닌지 걱정이 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집값 하락과 깡통전세가 세트로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만큼, 깡통전세에 대해서 미리 잘 알고 계셔야 소중한 전세금을 잃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만 제대로 읽으셔도 깡통전세 뜻과 깡통전세 사기 피해를 막는 방법 완벽하게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1. 깡통전세란?

 

  • 전세보증금이 집값과 거의 비슷하거나 집값보다 비싸지는 경우의 전세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보통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금과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더한 금액이 보통 집값의 80%를 넘어설 때 깡통전세라 부릅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 5억인데 전세보증금이 4억이 넘어간다면 깡통전세일 가능성이 있어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2. 깡통전세 위험한 이유

 

  • 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전세보증금도 함께 하락하게 되는데요.

 

이럴 경우 나의 전세 계약이 종료되어 집주인이 집을 팔거나 다른 세입자를 구한다고 하더라도 내가 낸 보증금 금액에 훨씬 못 미치는 금액으로 거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제때 온전하게 돌려받지 못하는 아찔한 경우가 생깁니다.

 

 

 

 

3. 깡통전세 주의 매물

 

  • 신축빌라

 

아파트같은 매물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한 매매가를 알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보증금이 매매가와 비슷하거나 매매가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아 깡통전세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오피스텔

 

비싼 아파트 대신 차선으로 많이 선택하는 매물 형태로 최근 오피스텔 보증금이 많이 올랐기에, 역시나 깡통전세가 아닌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 깡통전세 위험지역

 

* 2022년 9월 기준입니다.

지역별 전세가율수도권 빌라 전세가율

 

 

  • 수도권
    • 서울 강서구
    • 인천 미추홀구
    • 경기 부천시
    • 인천 부평구, 서구
    • 충남 천안, 아산

 

  • 비수도권
    • 경남 함안군
    • 포항 북구
    • 경북 구미
    • 전남 광양

 

 

깡통전세의 위험신호는 수도권의 외곽지역과 비수도권에서 먼저 감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도권은 빌라 및 다세대 주택 형태가 깡통전세 위험이 큰 반면, 비수도권 지방에서는 아파트도 깡통전세를 의심할만큼 전세가율이 높아 지역별로 다르게 깡통전세 주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 전세가율이란 집값 대비 전세가의 비율로 전세가가 높을수록 전세가율이 올라갑니다.

 

 

 

5. 깡통전세 피해 예방법 4가지

 

100% 까지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 내 소중한 보중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예방법 4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전입신고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했다고 신고를 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집을 구한 부동산에 물어보면 어느 동사무소에서 전입신고 할 수 있는지 알려주니 잘 모르시면 물어보시면 됩니다.

 

 

  • 확정일자 받기

 

동사무소 및 주민센터에서 이사한 집의 전세 및 월세 계약 체결을 확인해주는 일자가 확정일자입니다.

 

보통 전입신고를 하면서 확정일자를 함께 받습니다.

 

 

  • 전세권 설정

 

전세로 들어가는 집의 등기사항전부증명서에 '나는 임차인(세입자)이고 보증금은 000원입니다'라고 기록을 남기는 것을 전세권 설정이라고 합니다. 

 

등기부에 이 기록을 남기면 차후 집주인이 받을 대출 등에 대비해서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우선변제권이란 세입자가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

 

HUG, SGI서울보증, HK 세 기관에서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하게 되면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기관에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대신 지급하고 추후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받아낼 수 있게 됩니다. 

 

 

 

 

깡통전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이 있지만 조금 더 안전한 방법은 시세의 60-70% 정도의 전세가격으로 거래하는 방법이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소중한 내 전세보증금 지키기 위한 깡통전세 피해 예방법까지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의 소중한 전세보증금 지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합니다. 

 

 

 

댓글